대상포진은 수두를 앓았던 사람이라면 누구나 발병할 수 있습니다. 어린 시절 흔히 앓는 수두와 원인균이 같기 때문입니다. 이 균은 소아기에 수두를 일으킨 후 사라지지 않은 채 척추 뒤 신경절이나 뇌신경에 숨어서 지냅니다. 평소에는 별다른 이상을 보이지 않다가 면역 기능이 떨어지면 다시 활성화돼 대상포진을 일으키는데요. 성인 인구의 95% 이상이 수두-대상포진균을 갖고 있기 때문에 누구에게나 발병할 수 있다고 봐야 합니다.
대상포진에 걸리면 대체로 띠 모양의 피부 발진이 생깁니다. 반점이나 피부가 솟아오르는 구진 형태입니다. 이후에 수포나 농포를 형성하게 되고, 그 자리에 딱지가 앉는데요. 딱지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흉터가 남을 수 있으므로 눈에 띄는 부위라면 특별히 신경써서 관리해야 합니다.
이렇게 눈에 보이는 증상이 있기 전에도 대상포진을 의심할 수 있는 전구증상이 흔히 나타납니다. 전구증상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피로감이 몰려오거나 감기에 걸린 것처럼 전신이 나른한 경우가 많은데요. 신체의 일부가 콕콕 쑤시거나 칼로 도려낸 것처럼 극심한 통증을 느끼기도 합니다. 대체로는 통증을 느낀 부위에 수일 내로 발진이 발생합니다. 통증을 느낀 부위와 발진이 일어나는 부위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 또한 유념해야 합니다.
발진이 발생하면 '72시간' 안에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수두-대상포진균의 발산을 막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항바이러스제제를 투여하는 것인데, 72시간 안에 사용해야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대상포진 환자에게서 피부 발진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피부 발진이 없더라도 다른 전구 증상이 있으면 빨리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대상포진은 '통증의 왕' 이라고 불릴 정도로 극심한 통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고통을 참지 못하고 울면서 내원하는 환자들이 많은 것도 그런 이유입니다. 통증이 심할수록 합병증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기 때문에 더욱더 전문의에 의한 제대로 된 통증치료가 필요한데요. 신경의 염증 반응과 민감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통증치료와 항바이러스 제제 투여 외에도 피부 염증 반응을 줄이기 위한 피부국소침윤주사, 2차 감영 예방을 위한 드레싱 등 다양한 치료법이 활용됩니다.
대상포진은 질병 자체가 생명에 위협을 주지는 않지만 합병증이 더욱 심각한 질환입니다. 자칫 잘못하면 만성신경통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대상포진을 경험한 환자 중 10~20%는 대상포진 후 신경통을 앓습니다. 고령의 환자, 심한 통증이나 심한 피부 병변을 보인 환자는 신경통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습니다. 신경통으로 이어지면 완치가 쉽지 않고 평생 신경통으로 고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극심한 통증이 없다고 해도 대상포진은 쉬이 넘겨서는 안 됩니다. 수두-대상포진균이 눈을 침범하는 경우에는 각막염, 포도막염 등 눈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고, 귀에 침범하면 청력이상이나 뇌수막염, 안면 신경에 침범하면 안면 마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은 특정 세포의 면역반응이 감소했을 때 주로 나타납니다. 전체적인 면역기능이 떨어지면 대상포진 바이러스를 억제시켜주는 특정 세포의 활성도 떨어지기 때문에 평소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데 충분한 수면과 고른 영양 섭취,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 등 건강한 생활습관이 중요합니다.
대상포진은 전 연령대에서 발병할 수 있지만, 50세 이후에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합니다. 60~70대까지 지속적으로 발병률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 시기에 예방주사를 맞는 것이 좋습니다. 예방접종은 대상포진 발병 가능성을 낮추고, 발병하더라도 대상포진 후 신경통으로 이어지는 후유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한 번 접종으로 평생 효과가 비슷하게 유지되는 것은 아닙니다. 대체로 10년 정도 효과가 잘 유지되기 때문에 예방접종 시기는 의사와 상의해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방접종 10년 이후에는 효과가 떨어지기는 하나 추가 접종 및 재접종의 필요성과 그 효과에 대해 확실히 연구된 바는 없습니다. 무더운 여름을 지내고 나면 면역력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습니다. 건강한 습관 하나가 대상포진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쉬운 길임을 잊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출처 : 삼성생명블로그 http://www.samsunglifeblogs.com/2089
저도 예전에 대상포진에 걸렸었는데 정말 통증이 심하더라구요..
대상포진이 발병했다면 빨리 병원에 가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 것 같아요^^
'Interest >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잇몸질환의 주된 원인인 치석.. 어떻게 관리해야 하나? (0) | 2018.12.04 |
---|---|
장마철에 필요한 건강관리 팁~ (0) | 2018.07.02 |
3대 실명 진환인 녹내장.. 미리 예방하세요~ (0) | 2017.08.31 |
건강한 여름을 위한 체수분 조절 (0) | 2017.07.10 |
몸이 아파 음식 먹기 힘들 땐 이렇게... (0) | 2016.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