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를 맞이하면서 금연, 다이어트, 어학이나 자격증 취득이 목표인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작심삼일(作心三日)에 그치고 마는 경우가 대부분. 그래도 우리는 의지의 한국인이니 스마트한 시대에 스마트폰을 잘 활용하면 충분히 마음 먹은 대로 이룰 수 있다. 곁에 있는 친구처럼 지속적인 도움을 받고 싶다면 스마트폰에서 앱을 찾아 보자. 남성들에겐 금연, 여성들에겐 다이어트, 학생이나 직장인들에게는 영어회화 공부가 절실하듯이 내 마음을 이해하고 도와주는 앱을 소개한다. 올해 청마(靑馬)처럼 열심히 뛰어 성공하고 올 연말이나 내년 초에는 새로운 계획을 잡아 보는 것은 어떨지…
금연도우미로 금연 성공을~
금연이나 다이어트는 본인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은 잘 알고 있는 사실. 주변에서 도와주는 사람이 있다면 효과는 배가 된다. 금연에 대한 앱도 수십 여 개다. 일부 금연도우미 앱은 음성녹음 기능이 있다. 주변의 가족이나 연인의 음성을 녹음해서 격려가 필요할 때 들으면 힘이 된다. 알림 메시지 기능도 있어 설정한 시간 간격마다 격려 메시지를 받는다. 금연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금단 현상은 금연 도우미가 금단증상 해소 방법, 흡연 권유에 대한 대처법, 흡연 욕구 감소를 위한 팁을 준다. 그래도 중요한 것은 당사자의 의지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중년을 위한 ‘내 손안의 주치의’
40~50대가 되면 남자, 여자를 떠나 건강의 적신호가 켜지는 사람들이 많다. 4050세대를 위한 건강 도우미 앱 을 추천한다. 이들 건강 도우미 앱은 자가진단, 의학백과, 전문용어, 병원 찾기, 추천 병원, 전문가 상담, 메디컬 톡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혈압, 혈당수치를 한 눈에 관리할 수 있는 앱도 있다. 이들 앱은 혈압, 혈당, 체중 등 이전의 기록과 비교해서 알아보기 쉽고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결과를 그래프로 보여준다. 특히 비만도 뿐만 아니라 몇몇 구체적인 사항들을 이용해서 동맥경화위험도 또는 관상동맥질환위험도, 대사증후군 등에 해당되는 정도를 보여준다. 이들 앱은 진료, 검사일을 예약해서 관리하고 검사 결과와 처방전을 기록하거나 사진으로 찍어 저장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건강 관련 앱은 유료이다.
내 손안에 다이어트 배틀
다이어트는 혼자만의 길고 외로운 싸움과도 같다. 그렇다면 배틀은 어떨까. 최근에는 다이어트 배틀 앱이 인기를 얻고 있다. 다이어트 배틀이라면 TV 속 서바이벌 프로그램도 필요 없다. 내 육중한 몸을 만천하에 공개하지 않아서 좋고 배틀에서 이기면 돈도 벌 수 있어 1석 2조다. 배틀은 나만의 다이어트 식단 계획과 운동 계획을 쉽게 작성하고 실행 여부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내가 먹은 음식의 칼로리는 물론 내가 활동해서 소모한 칼로리도 확인할 수 있다.
영어 울렁증 해결
영어 울렁증이 있는 사람 들에게 영어회화 앱은 너무 많아서 머리가 아플 지경이다. 옥석을 가리는 일이 쉽지 않지만 사용이 편리하고 지루하지 않은 앱으로 평가글이 제법 좋은 앱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공부는 재미가 동반돼야 효과가 큰 법. 최근에는 이렇게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는 앱들이 많이 소개되고 있다. 재미있게 하다 보면 저절로 많은 영어 문장을 외우게 되고 꾸준히 하다 보면 말문이 트이게 된다. 이들 앱은 부분 유료인 경우가 많다.
스마트폰 사용자를 위한 수칙 10계명
스마트폰 사용자라면 매일 느끼겠지만 구글스토어와 앱스토어에는 하루가 멀다 하고 새로운 앱들이 다량으로 올라오고 있다. 한 눈에 혹하지 말고 검증된 앱인지 먼저 살펴보고 설치해야 한다. 아래 10가지 유의사항을 참고할 것.
1. PC로부터 파일을 전송 받을 경우 악성코드 여부를 꼭 확인한다.
2. 게임 등 앱을 다운로드 할 때는 신중하게 다른 사람이 올린 평판 정보를 먼저 확인한다.
3. 이메일이나 문자 메시지에 있는URL은 신중하게 클릭한다.
4. 앱을 설치하거나 의심스러운 파일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는 반드시 악성코드 검사를 한다.
5. 스마트폰용 보안 소프트웨어(V3 Mobile 등)를 설치하고 엔진을 항상 최신으로 유지한다.
6. 스마트폰의 잠금 기능(암호 설정)을 이용해 다른 사용자의 접근을 막고 비밀번호를 수시로 변경한다.
7. 블루투스 기능을 켜놓으면 악성코드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필요할 때만 켜 놓는다.
8. ID, 패스워드 등을 스마트폰에 저장하지 않는다.
9. 백업을 주기적으로 받아서 분실 시 정보의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10. 임의로 개조하거나 복사방지 등을 풀어서 사용하지 않는다.
출처 : AhnLab
'Interest > IT & Compu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치매의 역습 (0) | 2014.02.09 |
---|---|
유출된 개인정보 피해 최소화를 위한 개인 사용자의 행동 요령 (0) | 2014.01.22 |
스마트 기기의 5가지 잠금 기능 (0) | 2013.12.04 |
진화한 금융사 피싱 앱 변종 발견! (0) | 2013.10.28 |
스마트폰의 두 얼굴, '디지털치매'를 아시나요? (0) | 2013.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