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이 아파 병원을 찾았을 때 의사에게 ‘어떤 일을 하시냐?’는 질문을 받는 경우가 종종 있으실 텐데요.
직업마다 자주 겪는 단골 질환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직업별로 주의해야 하는 질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1. 오래 앉아 있는 직업 → 척추측만증, 심혈관계질환, 변비
허리가 가장 큰 부담을 느끼는 자세는 바로 ‘앉아 있는 자세’입니다. 오래 앉아 있으면 엉덩이와 허리에 통증이 오는 것은 물론이고 척추질환까지 이어집니다. 또 혈액순환이 나빠져 혈전을 만들어내면서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오래 앉아 있는 직업군 사람들은 변비도 주의해야 합니다. 위장을 비롯한 소화기관이 위아래로 압력을 받아 원활한 소화 작용이 어려운 만큼 변비로 이어지기 쉽기 때문이죠.
매일 앉아서 업무를 보는 직업이라면 자주 자리에서 일어나는 습관을 들이는 게 좋습니다. 천천히 일어났다가 앉는 동작을 가능하면 30분에 한 번 간격으로 실시해줍니다. 앉을 때는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한 시간에 한 번 가벼운 스트레칭을 해줍니다.
2. 종일 컴퓨터를 사용하는 직업 → 거북목증후군, 안구건조증
종일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일을 한다면 자세를 점검해야 합니다. 컴퓨터를 종일 들여다보면 목이 자연스럽게 앞으로 나오게 되고, 거북목증후군에 걸릴 위험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목에 무리가 가면서 어깨나 손, 팔이 저리고 두통과 현기증까지 생기기도 합니다.
또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하면 안구 건조, 충혈, 시력 저하 등 눈 건강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컴퓨터를 사용할 때 모니터 위치는 너무 아래를 보지 않도록 조정해주세요. 거리는 45~60cm 정도가 적당합니다. 모니터가 이보다 가까우면 눈의 피로도 쉽게 찾아오기 때문이죠. 안구 건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눈을 자주 깜빡이고, 양손바닥을 비벼 열을 낸 다음 눈 주변을 마사지해주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3. 말을 많이 하는 직업 → 성대질환
교사나 강사 등 목을 많이 쓰는 직업은 여러 가지 목 관련 질환에 시달리게 됩니다. 계속 말을 하거나 과다하게 큰 소리로 말을 하다 보면 발성장애, 성대결절, 성대마비, 성대용종 등 여러 가지 성대질환에 노출될 우려가 있습니다.
성대를 보호하기 위해 물을 자주 마시고 가습기 사용 등으로 주위환경이 건조하지 않도록 관리해줘야 합니다. 먼지나 매연이 많은 곳은 피하고 청량음료나 카페인 음료, 기름기 많은 음식은 삼가도록 합니다.
4. 오래 서 있는 직업 → 무릎 통증, 하지정맥류
판매직이나 안내직, 승무원 등 서서 오래 근무하는 직업은 무릎 통증을 자주 겪습니다. 또 정맥혈의 압박으로 인해 핏줄이 구불구불해지고 피부 겉으로 드러나는 하지정맥류 질환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하지부종, 중압감, 근육경련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하지정맥류를 의심할 수 있으나 이는 일부 증상으로 관절염이나 말초신경염 등도 함께 의심해봐야 합니다. 이후 질환에 따른 정확한 진료 및 치료가 필요합니다.
만약 오래 서서 일을 한다면 무릎 강화를 위한 스트레칭과 하체근육을 키우는 운동을 수시로 합니다. 하지정맥류가 걱정된다면 꽉 끼는 바지나 하이힐은 피하고, 오랜 시간 서 있어야 할 경우에는 압박스타킹을 사용합니다.
5. 손가락과 손목 사용이 많은 직업 → 손목관절염, 손목터널증후군
미용사나 요리사, 웹디자이너나 프로그래머처럼 손가락과 손목을 많이 사용하다 보면 손가락관절염이나 손목터널증후군에 걸릴 위험이 높아집니다. 손목 통증과 함께 엄지, 검지, 중지 및 손바닥 부위의 저림 증상이 밤에 심해지면 손목터널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을 피하려면 평소 손목과 손가락을 자주 풀어주고 손목 혈액순환이 잘되도록 물을 자주 마셔야 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출처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Interest >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면증의 고통을 덜어주는 천연 수면제는 바나나 !! (0) | 2021.06.14 |
---|---|
환절기에 쉽게 노출되는 질병과 예방,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는 식품 (0) | 2021.04.08 |
고혈압 예방과 관리 방법 (0) | 2021.01.27 |
가을에 심해지는 변비를 예방하는 방법은? (0) | 2020.11.12 |
비타민 D가 부족할 때 몸에 보내오는 신호 (0) | 2020.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