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est/IT & Computer

아이와 부모님을 위한 스마트폰 보안 가이드

활짝웃자^^ 2014. 5. 8. 19:46

호기심 가득한 아이와 어르신들은 스마트폰 사용에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각종 스미싱 문자와 악성코드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기 때문이죠.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하나하나 설정을 해 둔다면 조금이나마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입니다. 

 

1. 스마트폰에 비밀번호 설정하기

사람들은 자신의 정보를 남에게 노출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스마트폰도 마찬가지인데요.. 분실과 도난에서 안전하려면 비밀번호 설정은 필수입니다.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의 90%는 안드로이드폰 사용자입니다. 안드로이드폰은 패턴방식의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사용전에 반드시 잠금기능을 설정하고 사용하면 좋습니다.

 

2. 모바일 백신 앱 설치하기

그 다음은 모바일 백신 앱을 설치하는 것입니다. PC 못지 않게 스마트폰에서도 각종 악성코드가 다수 발견되고 있습니다. 모바일 악성코드는 스마트폰이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중요 정보를 외부로 유출하거나 불법 과금 등 금전적인 피해를 입히고 있습니다. 특히 아이들이 좋아하는 유명한 게임 애플리케이션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도 발견되고 있어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이미지출처 : 네이버 N스토어 캡춰

 

3. 스미싱 차단 앱 설치하기

스마트폰 보호를 위해 모바일 백신 설치에 이어 요즘 극성을 부리고 있는 스미싱 문자 차단 앱도 설치하면 좋습니다.

이벤트 당첨, 무료쿠폰을 가장한 스미싱 문자의 경우 스미싱에 취약한 부모님과 아이가 URL을 바로 클릭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양한 앱이 있으니 자신에 맞는 앱을 설치하여 피해을 사전에 방지해야 하겠습니다.

 

이미지출처 : 네이버 N스토어 캡춰

 

* 앱 설치 시 주의해야 할 점은 구글 플레이나 통신사 마켓 등 공식 앱 스토어가 아닌 곳에서는 설치하지 말아야 합니다. 출처가 불분명한 곳은 위험할 수 있기 때문이죠.. 또 스마트폰 환경설정에서 ‘알 수 없는 출처(소스)’의 체크는 해제해 둬야 악성코드 감염을 막을 수 있습니다.   


4. 모바일 소액 결제 차단하기 

아이가 부모의 스마트폰을 가지고 놀다가 나중에 고지서에서 모바일 소액 결제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일이 많았습니다. 이런 피해를 막기 위해 얼마전부터 정부차원에서 결제 전 소액 결제 안내를 하도록 사업자에게 권고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걱정이 되시면 처음부터 아예 모바일 소액 결제 차단을 설정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스마트폰에서 국번 없이 114로 전화를 걸면 통신사 고객센터로 연결됩니다. 고객센터에서 소액 결제 차단 서비스를 신청하면 편리하게 차단할 수 있습니다. 

 

5. 위치추적 서비스 가입하기

요즘 많은 사건 사고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안전에 대해 많이 생각하게 되는데요..

요즘 통신사에서는 위치추적 서비스라는 것을 제공하고 있어 위급한 일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할 수 있습니다.

위치추석 서비스는 각 통신사 고객센터에서 신청하면 되고요, 서비스는 유료입니다. 서비스에 가입하면 위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긴급버튼만 한번 누르면 지정해 둔 번호로 동시통화 연결이 이루어집니다. 또 서비스 가입자의 위치를 문자메시지로 수신 받을 수 있어 보호자 입장에서는 걱정을 덜 수 있습니다. 휴대전화가 GPS나 와이파이(WI-FI)를 지원하지 않으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출처 : AhnLab.